본문 바로가기
투자 - 스노우볼 만들기

2021 1월 기업경기 실사지수 경제심리지수 발표일 - 경제전망보고서 요약

by 이티서 2021. 1. 11.
반응형
시장상황을 볼 수 있는 지표가 발표되는 날짜! 

 

2021년 1월 28일 목요일에 - 2021년 1월 기업경기 실사지스, 경제 심리지수가 발표됩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자영업자분들의 경제적 타격을 입고 상대적으로 기업은 통신판매업 쪽으로 잘 해나가고 있지 않을까 싶네요.. 위 두가지 지표는 경기 후행 지표로서 매달 발표됩니다. 

 

한국은행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요약 - 세계 경제 성장률에 대한 전망 

- 2021년 상반기를 시작으로 경제가 서서히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어요. 경제성장률도 2021년 3% 로 2020년 마이너스 성장과 비교하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요. 

- 개인들은 이번 코로나 재확산으로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네요. 

 

한국은행 외에 IMF, OECD 와 Global Insight 그리고 5개 투자은행 평균 세계경제 성장률은 2021년에는 3.9% (IMG 선진국 성장률 전망) 에서 5.6% (5개 투자은행 평가) 에 이르기까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한국은행이 전망한 미국 경기 전망 부분입니다. 소비를 중심으로 2020년 하반기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던 미국 경기는 최근 코로나 재확산으로 다시 불안감이 고조 되고 있어요. 하지만 새 미국대통령 바이든 정부가 취임하면서 어떻게든 경기부양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한국은행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IMF 역시 미국 경제 성장률이 3.1%에 이를것이라고 2020년 10월 발표 했습니다. 

 

세계경제전망 부분을 살펴보다가 한가지 특이한 점이 있었습니다. IMF 와 OECD 가 전망하는 중국 경제 성장률이 무려 8%에 달한다는 것이죠. 

 

반도체는 차세대 D 램으로의 전환 DDR4 - DDR5 파운드리 증설 등을 위한 투자 지속 

디스플레이 최근 수익성 개선 되었습니다. 코로나 때문일까요? 최근 TV 판매량으 늘어났고 중국 업체의 공급량 조절등으로 LCD 패널 가격이 상승했다고 해요. 이걸로 번돈을 OLED 로 전환하는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건설경기는 2020년 하반기에 크게 부진했던 것이 점차 완화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2021년 중반기 중에 코로나가 잠잠해지지 않는다면? 경제 는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에도 한국은행은 3가지의 시나리오로 예상 경제 성장률을 제시합니다.  비관적으로 코로나가 2022년 중반 이후에나 진정된다고 해도 2021년 한국경제는 +2.2%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과연 2021년에 경제성장률의 v 자로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인지! 

 

아래 1월 주요 경제지표 발표일입니다. 

 

출처 한국은행 사이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