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밑줄 긋기25

JTBD Framework : Jobs To Be Done : Product Management Framework Jobs To Be Done (JTBD) Product Management, User Experience and User Research 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워크. 문제를 작업 (The Job - User needs) 관점에서 바라보는 프레임워크 사람들은 구멍을 뚫기위해 (Job) 드릴을 사용한다 (Product) - Theodore Levitt - 왜 구멍을 뚫으려고 하는지 파악해야한다. 굳지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될 일이고, 구멍을 뚫지 않고도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면 그 제품과 비즈니스는 더 사랑 받을 것이다. 고객의 요청이 어디에서 부터 오는지 집요하게 생각하고 연구해야 한다. 5 Principles of Jobs to Be Done 1.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를 사는 이유는 그 어떤 것인.. 2024. 1. 4.
로드맵을 만드는 방법 - 모든 이해관계자의 동의를 얻지 않으면 실패한다. 마일스톤을 만드는 방법 스테이크홀더간의 얼라인먼트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입해야한다. 모든 스테이크홀더와 동의를 구해야한다. 각각의 이해관계자가 지원하지 않는 로드맵은 작동하지 않는다. 그에대한 결과로 프로덕트 로드맵 문서가 발표되는 것이다. 우리 회사의 체코 개발자들은 한국의 스테이크 홀더 (고객대면) 팀들과 얼라인을 충분히 진행하지 않는다. 고객대면 쪽을 빼놓고 로드맵을 발표하는데 제품 로드맵을 중신으로 주요 이해관계자 즉 스테이크홀더를 정렬해야 하는 이유 - 제품개발의 목적 : 제품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유관부서와 이해관계자의 협력이 꼭 필요 성공하는 로드맥의 3가지 요소 - 건전하고 성취가능한 전략 - 현실적 - 주요 프로젝트 스테이크홀더가 완전히 지원해야 한다. 로드맵이 실패하는 이유 - 누군가가 프로세스를 .. 2024. 1. 3.
프로덕트 로드맵 - 장기 개발 계획 : 스테이크 홀더들의 업무 계획을 조정하기 위한 장기 개발 가시성을 제공한다. 기업이나 조직의 주요 이해 관계자 를 파악해서 전략에 대한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실행을 통해서 전략의 이해를 보완해야 한다. 프로덕드 로드맵은 왜 필요한가? 어떻게 사용하는가. - 비즈니스 목표 와 전략을 지원한다. 어떤 프로젝트를 지금 하고 어떤 프로젝트를 연기할지 결정 할 수 있다. 릴리즈 플랜 과 프로덕트 로드맵 (장기 개발 계획) 간의 차이 - 릴리즈 플랜은 프로덕트 로드맵 안에 한 부분 . - 릴리즈 플랜은 새로운 기능 뿐만이 아니라 (버그 픽스 유지보수 계획)도 포함이 된 개념 프로덕트 로드맵 ( 이해관계자들의 업무 계획을 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 제공 목적) - 조직내 구성원들이 장기 개발 계획을 보며 언제부터 무엇을 계획하고 무엇을 조정해야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 이것은 조직내 예.. 2024. 1. 3.
제품 전략을 발견하기 까지 - 인터뷰 개방형 질문 - 오픈 퀘스천 : 어떻게 생각하는지. 쉬운 질문, 간단한 질문으로 시작. 자기 자신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을 유도 -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편안하게 이야기 해서 분위기가 좋아지면 어려운 질문 직접 적인 질문을 꺼낸다. 다시 간단한 질문을 하면서 인터뷰를 마무리 좋은 인터뷰는 조합의 결과 - 인터뷰어의 좋은 태도와 좋은 질문 미소를 잃지 말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판단과 가정은 미뤄둔다. 고객에 대해 호기심을 표현한다. 침묵에 익숙해진다. 서두르지 않으면 상대방이 더 많은 질문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 패턴을 찾는다. - 같은 문제 보고 - 솔루션을 찾는지 - 사용 가능한 솔루션에 불만족인지 - 해결책을 만들 예산이 있는지 고객의 문제를 솔루션으로 제공하는 훌륭한 p.. 2024. 1. 2.